반응형
반응형
8. 제어문 제어문(control of statement) 는 조건 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 하거나 반복 할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코드 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Top Down 방식이다. 제어문 을 사용하면 코드의 실행 흐름 을 인위적으로 제어 할 수 있다. 제어문 은 실행 흐름 을 제어하기 때문에 가독성 을 해치는 단점 이 있다. 하지만, forEach, map, filter, reduce 같은 고차함수 를 사용하여 가독성 을 좋게 만들 수 있다. 1) 블록문 0개 이상 의 문(statement) 을 중괄호 {} 로 묶은 것으로 코드 블록 또는 블록 이라고 부른다. 자바스크립트 는 블록문 을 하나의 실행 단위 로 취급한다. 블록문 은 단독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제어문..
들어가며 티스토리 에 글을 쓰는 것만으로는 구글 에서 검색 노출되지 않는다. 내가 작성했던 글을 구글에서 검색해봤는데 노출되지 않았다. 알고보니 구글 서치 콘솔 에다가 티스토리 를 등록해야 구글 에서 검색 되는 방식이었다. (구글 서치 콘솔 에 등록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웹 크롤링 해서 검색이 되는 것이다.) 오늘은 내 티스토리 를 구글 서치 콘솔 에 등록하여 구글에서 검색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포스팅 하고자한다. 구글 서치 콘솔 등록 절차 구글 서치 콘솔 등록 절차 는 크게 4단계로 이뤄진다. 헷갈릴 수 있으니 천천히 따라하길 바란다. 1) 구글 서치 콘솔 > meta 태그 발급 1.구글 서치 콘솔 페이지 에 접속하여, 시작하기 를 누른다. 2.URL 접두어 선택 > 티스토리 URL 을 붙여넣은 후 ..
NVM 이란 무엇인가? Node Version Manager 의 줄임말로 Node.js 의 버전을 관리해주는 도구다. 여러 버전의 Node.js 를 설치하고 버전을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NVM default 는 무엇인가? 현재 나의 맥북에는 14.19.0 버전과 18.13.0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데, nvm 을 18 버전 에서 14 버전 로 변경하여도 재부팅하면 18 버전으로 자동으로 변경되었다. 찾아보니 NVM 에는 default 값이 지정되어 있어서 자동으로 변경되는 것이었다. NVM default 버전 변경하기 현재 내 맥북에 NVM 에 설치된 버전들이다. (Node.js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nvm ls 이다.) default 값이 18.13.0 을 가리키는 것을 볼 수 있다. ➜ ~ ..
들어가며 IP 와 매칭되는 도메인 이름 을 작성하면 해당 도메인으로 접근할 경우 매칭된 IP 로 연결시켜준다. 예를 들어 102.15.93.15 라는 IP 주소보다는 example.co.kr 과 같은 도메인 이름 으로 접속하는 것이 훨씬 기억하기 쉬울 것이다. 이러한 매핑 작업을 해두는 파일이 hosts 파일이다. hosts 파일에 접근하기 1.터미널을 열어서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파일에 접근한다. sudo vi /etc/hosts2.i 를 눌러서 --INSERT-- 모드 로 변경한다. 3.ip 와 도메인 이름 을 작성한다. 아래는 예시이다. 223.130.195.200 naver-test.co.kr4.esc 를 눌러서 --INSERT-- 모드 를 해제한 후 :wq! 를 입력해서 저장한다. 기본적인 설정..
들어가며 MAC 의 계정 이름이 너무 길다보니 터미널에서 사용자 이름이 너무 길어서 짧은 명령어 를 입력해도 개행처리 되어 보기가 좋지 않았다. 현재 사용중인 터미널이 zsh 기반이여서 zsh 를 수정해서 사용자 이름 이 짧게 보이도록 변경해 보았다. .zshrc 파일 열기 vi ~/.zshrc 사용자 이름 삭제 .zshrc 파일의 가장 하단부에 아래의 명령어를 붙여넣자. i 를 눌러서 --INSERT-- 모드로 변경한 후 붙여넣고 ESC 를 눌러서 --INSERT-- 모드 해제 후 :wq! 명령어를 통해 저장한다. prompt_context() { if [[ "$USER" != "$DEFAULT_USER" || -n "$SSH_CLIENT" ]]; then prompt_segment black defa..
들어가며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필수 아이템 Node.js 를 설치하고자 한다. Node.js 사이트에서 직접 패키지를 다운로드 할 수 있지만, 편한 관리를 위해서 HomeBrew 와 NVM 으로 설치하려고 한다. Node.js 사이트 (간단하게 패키지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위 사이트에서 설치하자.) 1. NVM 1)설치 명령어 brew install nvm➜ ~brew install nvm ==> Auto-updated Homebrew! Updated 1 tap (homebrew/core). ... 생략 ... Type `nvm help` for further information. ==> Summary 🍺 /opt/homebrew/Cellar/nvm/0.39.3: 9 files, 190.6KB ==>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