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들어가며뱀부랩 A1 에 대한 자세한 매뉴얼을 찾아보고 공부하고 있다. 이전 공부한 내용이 궁금하면 요기 👇https://spacedeveloper.tistory.com/93 [뱀부랩] A1 매뉴얼 정리 모음들어가며뱀부랩 A1 에 대한 자세한 매뉴얼을 찾아보고 공부하고 있다.파트별로 나눠서 정리한 글을 인덱싱한 포스팅을 올린다. A1 소개1. 작동 원리, 툴 헤드https://spacedeveloper.tistory.com/85 [뱀부랩]spacedeveloper.tistory.com 뱀부랩에서 제공하는 뱀부위키가 궁금하면 요기 👇https://wiki.bambulab.com/en/a1/manual/intro-a1 전자 부품1. 메인 회로 기판A1의 메인 보드는 저전력 SoC(System-on-Chi..
들어가며새롭게 eSUN PLA+ Cold White 필라멘트를 구매하였다.필라멘트를 새로 장착할 때마다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하였었는데, 캘리브레이션 방법과 어떻게 하는지는 제대로 포스팅하지 않았던 것 같아서 포스팅한다. 캘리브레이션 방법1. 뱀부랩 스튜디오(Bambulab Studio) 애플리케이션을 키고, 상단 탭의 캘리브레이션으로 이동한다. 2. 유량 비율(Flow Rate) 을 선택하고, 하단의 수동 캘리브레이션을 선택한다.3.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할 필라멘트를 선택한다. 4. 아래와 같이 캘리브레이션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약 30~40분 정도 소요된다.) 5. 1차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었다.다음과 같이 9개의 캘리브레이션 테스트 결과가 나왔다. 이 중에서 출력물의 내부가 가장 매끄럽게 ..
들어가며뱀부랩 A1 에 대한 자세한 매뉴얼을 찾아보고 공부하고 있다. 이전 공부한 내용이 궁금하면 요기 👇 [뱀부랩] A1 매뉴얼 정리 Part1 (작동 원리, 툴헤드)들어가며뱀부랩에서는 자사 3D 프린터 사용방법을 뱀부 위키라는 곳에 매뉴얼을 작성해놓았다.어떤 장치와 부품이 있으며,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등에 대해서 상세히 나와있어서 입문하였다spacedeveloper.tistory.com 뱀부랩에서 제공하는 뱀부위키가 궁금하면 요기 👇https://wiki.bambulab.com/en/a1/manual/intro-a1 A1 introductionIntroduction for the A1 3D printerwiki.bambulab.com 냉각 시스템빠른 출력을 위해서 2개의 공기 배출구가 있는 ..
들어가며뱀부랩에서는 자사 3D 프린터 사용방법을 뱀부 위키라는 곳에 매뉴얼을 작성해놓았다.어떤 장치와 부품이 있으며,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등에 대해서 상세히 나와있어서 입문하였다면 꼭 필독해야할 것 같아서 공부하는 포스팅을 올리게 되었다. 아쉬운 점은 영어와 중국어만 지원한다는 점이다.한국어가 없어도 영어가 있으니 추라이추라이~~ 뱀부위키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wiki.bambulab.com/en/a1/manual/intro-a1 A1 introductionIntroduction for the A1 3D printerwiki.bambulab.comA1 프린터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3D 프린터는 플라스틱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디지털로 만들어진 도안으로 3D 물체를 물체로 출력한다.A1의 ..
# 들어가며구매했던 A1C 가 도착해서 설치까지 완료했다. (들뜬 마음에 사진을 못찍어서 포스팅을 못했다.)본격적으로 프린팅을 출력하려고 하니 생각보다 신경쓸 게 많았고, 업그레이드하면 좋을 것들이 많아서 해당 내용을 정리하려고 한다. # 출력 품질 향상1. 플로우 레이트 캘리브레이션 설정 (Flow Rate Calibration)첫 테스트 출력에서 품질이 좋지 않을 것을 보고, 알아보니 캘리브레이션 설정을 해야한다고 한다.익스트루더(압출기)의 필라멘트 압출량이 비정상적인 경우 출력 결과물 품질이 영향에도 미친다. 다음 링크에 접속해서 따라하면 플로우 레이트 캘리브레이션 설정을 할 수 있다. Flow Rate CalibrationGuide on how to calibrate Flow Rate on Ba..
# 들어가며보드게임을 하다보면 오거나이저의 필요성을 굉장히 느낀다.국내에서 제작하는 오거나이저는 보통 3~4만원 정도이며, 타오바오에서 직수입을 하려고 해도 1~2만원+@ 의 비용이 발생하는 편이다. 지금 가지고 있는 게임과 나중에 구매할 게임까지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금액이 예상된다.그래서! 내가 직접 만드는게 나을 것 같다는 판단으로 구매를 하기로 했다. 도안은 싱기버스에서 구매할 수도 있고, 나중에는 직접 모델링할 수도 있어서 좋은 투자라고 생각해서 시작해보자! 그러면.. 뭐가 좋을까? # 너무 많은 3D 프린터들FDM/레진 방식, PLA, ABS, PETG ...??? 무슨 이야기인지 하나도 모르겠다. 결론적으로는 오거나이저 제작을 위해서는 FDM(적층 방식) + PLA(옥수수 원재의 플라스틱 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