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자바스크립트의 탄생1995년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 는 웹 페이지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경량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하기로 결정한다.그래서 탄생한 것이 브랜던 아이크 가 개발한 자바스크립트 이다. # 자바스크립트의 표준화1996년 8월 마이크로소프트 는 자바스크립트 의 파생 버전인 JScript 를 인터넷 익스플로러 3.0 에 탑재했다. 이로 인해 브라우저 에 따라 웹페이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 가 발생하기 시작했고, 결과적으로 모든 브라우저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웹 페이지를 개발하기가 무척 어려웠다.1997년 7월 ECMA-262라 불리는 표준화 된 자바스크립트 가 완성되었고 상표권 문제로 자바스크립트는 ECMAScript 로 명명되었다...
# 프로그래밍이란?컴퓨터 가 실행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고 상세하게 요구사항을 설명하여 실행을 요구하는 커뮤니케이션.현실 에서 사용되는 본질 의 추상적인 개념을 컴퓨터 가 이해하고 계산할 수 있도록 정의해야 한다.위는 2족 보행 로봇의 디자인이다.걷다 라는 기능을 디자인 하기위해 판단해야 하는 상태, 판단 시기, 판단 기준 을 정의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해한 프로세스의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사람이 기계어 를 이해해서 기계어로 직접 명령을 전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약속된 구문 syntax 로 구성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다. 1. 컴파일러 Compiler- 전체 파일을 스캔하여 한꺼번에 번역한다.- 초기 스캔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
개요 개발을 하다보면 구글 크롬 버전에 따라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사내에서 개발중인 서비스의 경우 크롬 102 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며 특정 라이브러리 css 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경우 구글 크롬을 강제로 다운그레이드 시켜서 확인해야하는데, 기본적으로 구글 크롬은 자동 업데이트 가 설정되어 있어서 이 기능을 차단 해야한다. 터미널 명령어를 통해서 구글 크롬 업데이트을 차단해보자. 구글 크롬 업데이트 체크 상태 확인 명령어 defaults read com.google.Keystone.Agent checkInterval위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되는 interval은 기본적으로 18000초 이다. (5시간 ) 18000구글 크롬 업데이트 차단 방법 interval..
들어가기 타입스크립트를 알기에 앞서서 먼저 자바스크립트에 대해서 설명이 필요하다. 자바스크립트는 인터프리터 언어 이면서 다이나믹 타입의 언어이다. 인터프리터 언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소스코드 를 한줄씩 읽어가며 동작하는 방식의 언어이다. 쉽게 얘기해서 실시간 통역 으로 생각하면 쉽다. 다이나믹 타입 타입이 선언 당시에 결정되는 것이 아닌 동작할 때 결정되며, 새롭게 다른 타입으로도 변경이 가능한 타입을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변수 타입은 string, number 등의 값의 타입을 의미하며, var, const 와 같은 변수 타입을 의미하진 않는다. 자바스크립트는 소스코드 를 한줄씩 읽으면서 코드의 결과에 따라 타입이 다이나믹 하게 결정된다. 이러한 자유로움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인수 타입이 지정되어..
개요 terminal 을 통해서 외부 서버로 접속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 접근하는 방식을 SSH 라고 하는데, 이는 Secure Shell 의 줄임말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이다. 명령어 기본적인 명령어는 다음과 같으며, 원격지 서버의 user 와 원격지 서버의 server ip 을 기입한다. ssh 원격지_유저@서버_IP직접 포트번호를 지정하여 접속할 경우는 추가적인 옵션으로 포트번호를 지정하면 된다. ssh 원격지_유저@서버_IP -p 포트번호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ssh root@10.100.100.10최초 연결 SSH 에 처음 연결하게 되면 RSA 키를 생성하고 연결을 계속할 것인지 묻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The authenticity of host '10...
개요 개발을 하다보면 요청으로 인해 현재 작업하던 내용과는 별개의 내용을 확인해야할 때가 있다. 이런 상황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마다 commit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commit 은 하나의 개발 단위로 하는 것이 좋은데, 무분별하게 commit 을 사용하면 commit 이력으로 파악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때 작업한 내용을 임시 공간 에 저장하였다가 다시 불러와서 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하는 것이 stash 기능이다. 명령어 1. stash (보관) git stash가장 기본적인 작업 내용을 저장하는 명령어이다. stash 명령어를 사용하면 워킹 디렉토리 에서 수정한 파일들만 저장되며, 워킹 디렉토리 는 비워진다. stash 는 여러 번 할 수 있으며, stack 구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