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들어가며 개발을 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도구 중 하나가 git 이라고 생각한다. 버전 관리 도구(Version Control System) 이여서 거의 모든 상업적 프로젝트에 사용되기하도, git 이 VCS 의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점유율 이 95% 가까웠던 걸로 기억한다.) git 기반의 서버들은 사용자 권한 을 특정하는 방법으로 SSH 공개 키 방식으로 인증한다. 오늘은 이 SSH 공개 키 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SSH 공개키 만들기 1) 현재 공개 키가 있는지 확인 SSH 키 들은 사용자의 ssh 디렉토리 내에 저장된다. 이 디렉토리를 확인하면 된다. cd ~/.ssh ls # 결과 id_rsa id_rsa.pub known_hosts이미 만들어진 SSH 키 가 있는 ..
들어가며 node 관련 패키지 잘못건드렸다가 좌충우돌 중인 요즘이다. 해당 문제는 어제 기분 좋게 해결했는데, 프로젝트를 구동했는데 또 에러가 발생했다. 아이고.. 이번엔 또 무엇인가 발생 현상 ➜ project git:(main) npm start ... 스크립트 생략 internal/modules/cjs/loader.js:905 throw err; ^ Error: Cannot find module './lib/clean' ... 스크립트 생략 주요 원인은 internal/modules/cjs/loader.js:905 throw err; 로 인한 Error: Cannot find module './lib/clean' 가 원인이다. 해결 방법 구글링 결과 npm cache 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판단..
1. 타입 변환이란? 자바스크립트 의 모든 값 은 타입이 있다. 값의 타입 은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타입으로 변환 할 수 있다. 의도적 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 하는 것을 명시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캐스팅 이라 한다. const x = 10; const str = x + ''; console.log(typeof str, str); // string 10 console.log(typeof x, x); // number 10 위의 예제를 보면 x 는 number 타입이면서 10 인 변수다. 하지만, str 변수로 할당될 때 연산된 + 를 덧셈 연산자 가 아닌 문자열 연결 연산자 로 연산이 되었다. x 와 더해진 값이 '' 인 빈 문자열 이기 때문에 암묵적으로 타입을 변환 한 것이다. 2. 암묵적 타입 ..
들어가며 이번에 패키지 관련 문제로 인해서 MacOS 를 포맷하였다. 기존에 연동되어있던 git 계정이 해제되어 작업 후 commit 하려 하자 사용자 이름 user.name 과 사용자 이메일 user.email 이 없다고 떴다. git config 구성을 하는 포스팅을 해보고자 한다. 구성 방법 기본적인 git config 구성 방법은 간단하다. 글로벌 환경 과 로컬 환경 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글로벌 환경 의 경우 -g 옵션 을 추가하면 되고, 로컬 환경 의 경우 옵션 없이 추가하면 된다. 1) git config 내용 확인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git config 정보를 보여준다. git config --list init.defaultbranch=main ... 생략 remote.orig..
들어가며 타입스크립트를 설치했음에도 tsc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는 현상 에서 해결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작업중이던 프로젝트 를 구동하면 빌드 과정 에서 실패 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겼다. 현상 npm start 시 (build 관련 스크립트도 함께 동작) npm Err! 가 발생한다. npm ERR! code ELIFECYCLE npm ERR! errno 1 npm ERR! node-sass@6.0.1 postinstall: `node scripts/build.js` npm ERR! Exit status 1 npm ERR! npm ERR! Failed at the node-sass@6.0.1 postinstall script. npm ERR! This is probably not a problem with ..
들어가며구글에서 검색되는 방법은 아래의 포스팅을 확인한다. 👇 티스토리 - 구글 서치 콘솔 등록방법들어가며 티스토리 에 글을 쓰는 것만으로는 구글 에서 검색 노출되지 않는다. 내가 작성했던 글을 구글에서 검색해봤는데 노출되지 않았다. 알고보니 구글 서치 콘솔 에다가 티스토리 를 등록spacedeveloper.tistory.com 네이버에서 검색되기 위해서는 검색 엔진에 나의 티스토리가 검색되도록 연동해야한다.네이버의 검색 엔진은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라고 하는데, 이러한 연동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한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메타 태그 발급1.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접속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라고 검색하면 사이트가 나온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접속해도 된다.https://searchad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