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들어가며
이번에 패키지 관련 문제로 인해서 MacOS
를 포맷하였다.
기존에 연동되어있던 git
계정이 해제되어 작업 후 commit
하려 하자 사용자 이름 user.name
과 사용자 이메일 user.email
이 없다고 떴다.
git config
구성을 하는 포스팅을 해보고자 한다.
구성 방법
기본적인 git config
구성 방법은 간단하다.
글로벌 환경
과 로컬 환경
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글로벌 환경
의 경우 -g 옵션
을 추가하면 되고, 로컬 환경
의 경우 옵션
없이 추가하면 된다.
1) git config 내용 확인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git config 정보를 보여준다.
git config --list
init.defaultbranch=main
... 생략
remote.origin.url=https://github.com/project-url.git
branch.main.remote=origin
branch.main.merge=refs/heads/main
2) 사용자 이름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용자 이름을 등록할 수 있다.
git config user.name = "사용자_이름"
3) 사용자 이메일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용자 이메일을 등록할 수 있다.
git config user.email 이메일_주소
4) 등록되었는지 확인
✗ git config --list
init.defaultbranch=main
... 생략
remote.origin.url=https://github.com/project-url.git
branch.main.remote=origin
branch.main.merge=refs/heads/main
user.name=테스트
user.email=space.developher@gmail.com
환경 구성 위치
git config
구성은 repository
마다 별도로 지정할수도 있고, 전역으로 동일하게 지정할 수도 있다.
위에 작성했듯이 -g 옵션
으로 글로벌 환경
과 로컬 환경
을 구분짓는다.
1) 글로벌 환경
git config -g user.name = "사용자_이름"
2) 로컬 환경
글로벌 환경
이 존재해도, 로컬 환경
으로 덮어 씌우면 글로벌 환경
은 무시된다.
git config user.name = "사용자_이름"
글로벌 환경
으로 관리하면 동일하게 동작하기 사용하기 편하기는 하지만
, 환경
에 대해 수정이 이뤄졌을 때 예상치 못한 사이드 이펙트가 생길 수 있어서 로컬 환경 구성
을 지향하는 편이다.
물론 git config
같은 경우엔 크게 사이드 이펙트
가 발생할 요소가 없긴 하지만, 버릇되어 로컬 방식
이 마음이 편한 것 같다.
반응형
'개발 일반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sh 명령어 사용하기 (2) | 2023.01.15 |
---|---|
로컬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 삭제하기 (0) | 2023.01.15 |
원격 브랜치 및 로컬 브랜치 이름 변경하기 (0) | 2023.01.15 |
원격 브랜치로 로컬 브랜치 생성 (0)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