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부랩] A1 매뉴얼 정리 > 필라멘트 탱글 디텍션(Filament Tangle Detection)(필라멘트 얽힘 감지)

반응형

들어가며

뱀부랩 A1 에 대한 자세한 매뉴얼을 찾아보고 공부하고 있다. 

 

이전 공부한 내용이 궁금하면 요기 👇

https://spacedeveloper.tistory.com/93

 

[뱀부랩] A1 매뉴얼 정리 모음

들어가며뱀부랩 A1 에 대한 자세한 매뉴얼을 찾아보고 공부하고 있다.파트별로 나눠서 정리한 글을 인덱싱한 포스팅을 올린다. A1 소개1. 작동 원리, 툴 헤드https://spacedeveloper.tistory.com/85 [뱀부랩]

spacedeveloper.tistory.com

 

뱀부랩에서 제공하는 뱀부위키가 궁금하면 요기 👇

https://wiki.bambulab.com/en/a1/manual/intro-a1

 

A1 introduction

Introduction for the A1 3D printer

wiki.bambulab.com

 

1. 필라멘트 얽힘 감지란?

필라멘트 얽힘(tangle)은 스풀에서 필라멘트가 엉켜 압출기가 필라멘트를 끌어당기지 못해 출력이 멈추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툴헤드의 런아웃 센서는 여전히 필라멘트가 있다고 인식해서, 공기 출력(air printing)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필라멘트 얽힘 감지 모듈이 존재한다. 필라멘트가 얽히면 공급 저항이 커지고, 센서가 이를 감지해 자동으로 출력 중단 및 알림을 띄우고, 사용자가 스풀 정리를 완료하면 다시 출력을 재개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 런아웃 센서: 필라멘트가 다 떨어졌는지 감지하는 센서

* 공기 출력: 필라멘트 없이 허공에서 출력만 하는 상태, 노즐은 동작하지만 실제로는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음

필라멘트 얽힘과 공기 출력

 

2. 감지 원리

1) 구성

  • 툴헤드 상단에 위치한 필라멘트 허브(Filament Hub)와 피드 브라켓(Feed Bracket) 으로 구성된다.
  • 필라멘트 허브는 4개의 PTFE 튜브와 연결되고, 브라켓 내에는 스프링과 하단의 자식이 포함되어 있다.
  • 허브와 브라켓이 결합되면, 스프링과 슬라이더, 홀센서로 이루어진 감지 모듈이 완성된다.

2) 작동 원리

  • 필라멘트 엉킴 등으로 외부 공급 저항이 커지면, 익스트루더는 계속 필라멘트를 끌어당기고 내부 스프링이 압축되어 슬라이더가 아래로 내려간다.
  • 이로 인해 자석이 홀센서에 가까워지고, 저항이 과도하다는 신호를 보내어 "필라멘트 얽힘"으로 판단한다.
  • 스프링은 이 과정에서 여유 필라멘트를 제공해서 공기 출력이 생기지 않도록 완충 역할을 한다.

 

3. 기능 활성화

프린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Settings > Print Options 메뉴 > Filament Tangle Detection 켜짐 여부 확인 > On 으로 하면 된다.

 

4. 사용시 주의사항

  • 비유연성 필라멘트만 지원: TPU, TPE, PVA는 감지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 외부 스풀 사용시: PTFE 튜브가 고정되어야 하며, 너무 꺾이면 안된다. 

 

5. 결론

 

  • 필라멘트 얽힘 감지 기능은 정상/비정상 공급을 판단해서 출력을 자동으로 중단시키는 기능이다.
  • 외부 스풀 또는 AMS 사용 시 튜브 고정하고, 필라멘트 엉킴 예방해야한다.
  •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기능을 꺼보고, 이후 문제 해결한 후 다시 활성화하는 것을 권장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