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들어가며
Home Brew 를 정상적으로 설치하였음에도 터미널에서 brew 명령어를 입력했으나 zsh: command not found: brew 라고 경고가 뜨면서 동작하지 않았다.
문제 발생 상황
➜ ~ brew
zsh: command not found: brew해결 방법
M1 MacOS 와 Intel MacOs 의 해결방법이 다르다.
나는 M1 MacOS 를 사용하므로 M1 MacOS 용으로 해결방법을 작성하겠다.
1) M1 MacOS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Path를 자동으로 찾는다.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위의 명령어를 터미널이 켜질때마다 동작하도록 zshrc 파일을 수정한다.
vi ~/.zshrczshrc 파일에 접근하여 마지막 줄에 i 를 눌러서 --INSERT-- 로 변경한 후 Path 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붙여넣는다.
이후 esc 를 눌러서 --INSERT-- 모드를 해제한 후 :wq! 를 입력하여 저장한다.

해결된 것을 볼 수 있다.
추가 내용 (2023.01.27 > 2023.02.16)
brew 를 설치할때 간과한 부분을 뒤늦게 확인했다.
설치를 하다보면 진행 과정이 출력되는데 Next steps 부분을 확인하지 않고, 설치된 것으로 판단했다.
아직 brew 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였던 것이다.
...
==> Next steps:
- Run these two commands in your terminal to add Homebrew to your PATH:
(echo;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Users/spacedevelopher/.zprofile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Run brew help to get started
- Further documentation:
https://docs.brew.sh
...위의 출력 내용을 보면 2개의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동작하라고 한다.
(echo;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Users/spacedevelopher/.zprofile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설치되었는지 확인해보자.
brew --version➜ ~ Homebrew 3.6.21
➜ ~ Homebrew/homebrew-core (git revision 41506fa6af4; last commit 2023-02-16)위의 출력 내용을 그대로 진행해도 동일하게 brew 가 동작된다.
반응형
'프론트엔드 > 트러블 슈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터미널 - SSH 변경 접속시 에러 처리 방법 (0) | 2023.02.13 |
|---|---|
| git push origin 할때 `error TS2688: Cannot find type definition file` lint 에러가 발생한 현상 (0) | 2023.02.02 |
| npm start 시 loader.js 에서 throw err 가 발생하는 현상 해결 (0) | 2023.01.31 |
| MacOS/맥북/M1 - node 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현상 (0) | 2023.01.30 |
| 타입스크립트를 설치해도 tsc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는 현상 해결 (0) | 202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