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을 읽기 전에..
오 마이 갓... 이 글을 다 작성한 후 큰 문제가 터져버렸다.
역시나 예상했던 대로 글로벌 환경 을 잘못건드린 것 같다.
기존에 설치됬었던 node.js 버전을 무시한 채 node.js 의 가장 최근 버전이 자동으로 설치되었다.
(그것도 lts 버전 인 18 버전 도 아닌 19 버전 이 설치되었다.)
아래 작성한 내용은 node.js 버전이 크게 관계 없을 때 시도할 경우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1. 문제 발생
웹 컴포넌트 기반의 라이브러리 lit 과 관련한 프로젝트를 새롭게 생성하였다.타입스크립트 를 지원하여 설치를 하였는데 tsc 명령어를 실행하려고 하자 명령어를 찾을 수 없다(zsh: command not found: tsc) 는 상황이 발생했다.
2. 문제의 흐름
1) 타입스크립트 설치
npm i typescript2) tsconfig.json 파일 생성 명령어 입력
tsc --init3) 명령어 에러 발생
zsh: command not found: tsc3. 해결방법
Home Brew 에서 typescript 를 설치하니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brew install typescript설치 이후 tsc 명령어도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tsc --init
Created a new tsconfig.json with:
TS
target: es2016
module: commonjs
strict: true
esModuleInterop: true
skipLibCheck: true
forceConsistentCasingInFileNames: true
You can learn more at https://aka.ms/tsconfig4. 추가적인 이야기
타입스크립트 설치시 글로벌 환경으로 설치하라고 작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나는 웬만해서는 글로벌 환경은 오염시키고 싶지 않아서 로컬 환경으로 설치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tsc 명령어는 글로벌 환경에 설치된 타입스크립트 명령어 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해결방법으로는 글로벌 로 타입스크립트를 설치하거나, npx 로 바로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해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원천적인 해결 방법
#1. 글로벌 설치
npm i typescript -g#2. npx 이용하여 설치
npx typescript --init
반응형
'프론트엔드 > 트러블 슈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터미널 - SSH 변경 접속시 에러 처리 방법 (0) | 2023.02.13 |
|---|---|
| git push origin 할때 `error TS2688: Cannot find type definition file` lint 에러가 발생한 현상 (0) | 2023.02.02 |
| npm start 시 loader.js 에서 throw err 가 발생하는 현상 해결 (0) | 2023.01.31 |
| MacOS/맥북/M1 - node 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현상 (0) | 2023.01.30 |
| MacOS/맥북/M1 - HomeBrew 설치 후 brew 명령어를 찾을 수 없는 문제 해결 (zsh: command not found: brew)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