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VM 이란 무엇인가?
Node Version Manager
의 줄임말로 Node.js
의 버전을 관리해주는 도구다.
여러 버전의 Node.js
를 설치하고 버전을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NVM default 는 무엇인가?
현재 나의 맥북에는 14.19.0
버전과 18.13.0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데, nvm 을 18 버전
에서 14 버전
로 변경하여도 재부팅하면 18
버전으로 자동으로 변경되었다.
찾아보니 NVM
에는 default
값이 지정되어 있어서 자동으로 변경되는 것이었다.
NVM default 버전 변경하기
현재 내 맥북에 NVM
에 설치된 버전들이다. (Node.js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nvm ls
이다.)default
값이 18.13.0
을 가리키는 것을 볼 수 있다.
➜ ~ nvm ls
v14.19.0
-> v18.13.0
default -> lts/* (-> v18.13.0)
iojs -> N/A (default)
unstable -> N/A (default)
... 생략 ...
lts/fermium -> v14.21.2 (-> N/A)
lts/gallium -> v16.19.0 (-> N/A)
lts/hydrogen -> v18.13.0
default alias
를 변경하면 된다.
nvm alias default 14.19.0
➜ ~ nvm alias default 14.19.0
default -> 14.19.0 (-> v14.19.0)
default
버전이 변경되었다고 나온다.
nvm
목록에서도 확인해보자
➜ ~ nvm ls
v14.19.0
-> v18.13.0
default -> 14.19.0 (-> v14.19.0)
iojs -> N/A (default)
unstable -> N/A (default)
... 생략 ...
lts/fermium -> v14.21.2 (-> N/A)
lts/gallium -> v16.19.0 (-> N/A)
lts/hydrogen -> v18.13.0
정상적으로 default
값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개발 일반 > termin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OS/맥북/M1 - zsh: command not found: nvm 해결하기 (0) | 2023.02.16 |
---|---|
MacOS/맥북 - SSH 공개키 생성하는 방법 (0) | 2023.02.02 |
ZSH - 터미널 사용자 이름 변경하기 (0) | 2023.01.27 |
MacOS/맥북 - Node.JS 설치하기 (with.HomeBrew + NVM) (0) | 2023.01.27 |
MacOS/맥북 - Home Brew 설치하기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