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부랩]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의 중요성
# 들어가며
3D 모델을 출력하려고 새로운 종류의 필라멘트를 구매했다.
eSun의 PLA SILK Gold 인 필라멘트이다.
매뉴얼에 새로운 종류의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경우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하라고 하여 별 생각 없이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매뉴얼은 따라야지)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아래의 포스팅에 작성했다.
https://spacedeveloper.tistory.com/76
뱀부랩 A1C 설치 후 해야할 일 (나만의 할 일 목록)
# 들어가며구매했던 A1C 가 도착해서 설치까지 완료했다. (들뜬 마음에 사진을 못찍어서 포스팅을 못했다.)본격적으로 프린팅을 출력하려고 하니 생각보다 신경쓸 게 많았고, 업그레이드하면 좋
spacedeveloper.tistory.com
# 다이나믹 캘리브레이션
다이나믹 캘리브레이션 먼저 진행했다.
시간이 조금 걸리고(약 5분), 플로우 레이트 캘리브레이션은 출력물이 발생하기에 먼저 진행했다.
다이나믹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하니 다른 PLA+ 필라멘트와 다르게 PLA SILK 소재의 필라멘트만 두께가 두꺼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필라멘트 속성과 확연히 다르므로 뱀부 스튜디오(Bambu studio) 내 캘리브레이션을 별도로 설정 진행하였다.
# 플로우 레이트 캘리브레이션
이어서 플로우 레이트 캘리브레이션도 진행했다.
출력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결과까지 시간이 꽤 소요했다. (약 40분)
위의 사진이 결과이다. 압출량에 따라 굉장히 큰 퀄리티 차이가 발생했다.
기존 PLA+ 필라멘트 소재의 경우 "+5" 압출량 설정을 했었는데, 이번 필라멘트도 동일한 설정으로 갔으면 퀄리티가 큰일날 뻔 했다.
먼저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한 것이 굉장히 현명한 선택이었다고 생각이 든다.
PLA SILK 압출량은 "-5" 로 설정해서 별도의 캘리브레이션으로 등록하였다.
# 결론
새로운 종류의 필라멘트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캘리브레이션을 먼저 진행하고 출력하자.
-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