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맥북
MacOS/맥북 - localhost 등록하기 (feat.hosts 파일 수정)
space.developher
2023. 1. 28. 21:56
반응형
들어가며
IP
와 매칭되는 도메인 이름
을 작성하면 해당 도메인
으로 접근할 경우 매칭된 IP
로 연결시켜준다.
예를 들어 102.15.93.15
라는 IP
주소보다는 example.co.kr
과 같은 도메인 이름
으로 접속하는 것이 훨씬 기억하기 쉬울 것이다.
이러한 매핑 작업을 해두는 파일이 hosts
파일이다.
hosts 파일에 접근하기
1.터미널을 열어서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파일에 접근한다.
sudo vi /etc/hosts
2.i
를 눌러서 --INSERT-- 모드
로 변경한다.
3.ip
와 도메인 이름
을 작성한다.
아래는 예시이다.
223.130.195.200 naver-test.co.kr
4.esc
를 눌러서 --INSERT-- 모드
를 해제한 후 :wq!
를 입력해서 저장한다.
기본적인 설정은 완료되었다.
테스트 해보기
위의 예시로도 작성하였지만, 223.130.195.200
는 네이버의 IP
주소이다.
단, 네이버의 경우 주기적으로 IP
주소가 갱신
되므로 위의 IP
주소로 접근하려고 해도 접근되지 않을 확률이 높다.
InfoByIp.com 에서 조회해본 결과이다.
위의 예시로 도메인 주소를 naver-test.co.kr
로 하였기 때문에 해당 도메인으로 접근하면 매핑되는 IP
인 223.130.195.20
로 연결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