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업데이트] 25.04.17 소식브라스 버밍엄 선주문이 잘되고 있나봅니다.보드엠에서 별도로 특전 제공 및 선주문 기간을 늘린다고 합니다. 1. 특전 트레이 내 플레이어 색상별로 보관할 수 있는 종이 박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종이 박스여서 내구도에 의심이 들긴하지만 내구성 좋을 거라고 언급하네요. 두번째는 석탄과 철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아크릴 오버레이를 제공한다고 합니다.석탄과 철은 버밍엄 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자원이다보니 불편하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특전이라면 무조건 호입니다. 2. 기간 변경기존에는 선주문 기간이 2025.04.10(목)~25.04.18(금) 이었으나 기간이 1주일 늘어났습니다.최종 선주문 기간은 ~25.04.25(금) 17:00 까지 입니다.17시 까지이니 반드시 그 전에 주문하..
# 개요브라스: 버밍엄은 18세기 영국 산업혁명 시대의 사업가가 되어 상품을 생산하고, 상품을 운반하기 위한 교역로를 만들어 가장 높은 점수를 얻는 플레이어가 승리하는 게임이다.현재 보드게임 긱 순위 전체 1등을 달리고 있으며, 게임 난이도는 어려움에 속하는 5점 만점 중 3.87, 베스트 인원은 3인이다. # 세팅1. 공용모든 플레이어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용 맵을 플레이어들 가운데 펼쳐 놓는다.앞 뒤로 색상이 다른데, 낮과 밤을 배경으로 하는 차이만 있을 뿐 다른 차이는 없다.1) 카드 덱+ 일반 카드카드는 크게 일반 카드와 와일드 카드로 구분된다.카드에는 인원에 따라 사용하는 카드가 다르다. 인원수에 맞게 카드를 세팅한다. 일반카드 덱을 잘 섞은 후 뒤집어서 일반카드 위치에 놓는다.와일드 카드는 같..
일반적인 DOM 은 CSS Selector 를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element, id, class) 그러나 Shadow DOM 은 일반적인 DOM 과는 다른 방식으로 CSS 를 조작해야한다. 보통 2가지 방식을 활용해서 Shadow DOM 내부의 CSS 를 조작한다. 첫번째는 part 어트리뷰트를 활용해서 조작하는 방식이다. CSS 를 정의할 때 ::part() 의 방식으로 의사 요소 를 통해서 Shadow DOM 내부의 엘리먼트에 접근할 수 있다. 다음은 예제이다. 위와 같이 선택자를 지정하려는 요소에 대해 part 어트리뷰트를 추가하여, 의사 요소를 통해 접근하도록 한다.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다. custom-element::part(shadow-dom-select){ background-..
playwright 테스트 작성 관련하여 내용을 정리한다. test 메서드 playwright 의 가장 기본적인 메서드이다. test 파일 내에서 test 메서드를 통해서 동작하는 메서드이다. test(`report title`, async () => { /** 테스트 내용 */ })첫번째 인자로 report title 을 전달하여 표시한다. 두번째 인자로 test 할 코드를 작성한다. test.describe 메서드 test 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로, report 내 카테고리를 하나로 묶어서 테스트 처리할 수 있는 메서드이다. test.describe 동작방법은 test 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test.describe 내 test 메서드를 동작하면 report category > report title..
설치 playwright 최신 버전 버전 설치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npm init playwright@latest혹은 playwright 로 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다. npm init playwright@latest new-project-nametest 패키지 설치 npm install -D @playwright/testplaywright config 설정 local 에서 인증되지 않은 https 페이지 접근 허용 기본적으로 playwright 패키지를 init 하면 playwright.config.ts 가 설치된다. 이때 인증서 권한과 관련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config 옵션을 설정해야한다. 다음은 report 에서 확인된 권한 관련 에러 내용..
폴리필이란?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웹 브라우저 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코드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자바스크립트의 신규 기능을 변환할 때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데코레이터 Decorator 의 경우 현재 Draft 단계로 공식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지만, 폴리필을 통해서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단, 폴리필 플러그인 을 불러오는 시간과 트래픽이 늘어난다는 점과, 브라우저별 적용으로 인해 코드가 길어지고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다. 레퍼런스 자바스크립트 인포 문서 위키백과 문서 모질라 문서 soraji 블로그